인천향교와 인천도호부청사

2014. 5. 10. 01:10우리나라 이곳저곳

 

 

 

 

 

 

어린이박물관을 나와 늦은 점심을 먹으려고 식당을 찾다가 길 건너 향교와 인천도호부청사가 담 하나 사이에 있는것이 보였다.

점심을 먹고 들러 본 청사 앞마당에는 놀이문화체험  제기차기, 투호, 윷놀이,  팽이치기, 연날리기,  탈만들기 ,널뛰기 등

또 옛 의상을 입고 사진 찍는 포토존도 있었다.

 

 

향교는 조선시대 당시 지방 학생들을 위한 학교 기능을 사용하였으며,서당보다 높고

성균관보다 낮은 중등교육기관이다.인천향교는건축된 시기는 확인하기가 어려우며,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의 중수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세조 이전에 설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명륜당은 유생들이 사서오경을 공부하고 강독하며 초시준비와 각종행사를 하던 곳으로 유학을 배우는 학당이었다

서제와 동제가 있는데 그 곳은 지금의 기숙사와 같은 곳으로 유생들이  머물었던 곳이다.  

 

 

더보기

          

 공자를  비롯하여 16명의 중국 성현과 우리나라 유학의 대표적 성현18명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하는 곳이다

 

 

향교와 담 하나 사이에 있는 도호부청사는

조선시대의 지방행정조직은 1413년 ( 태종 13년 )에 전국을 8도로 나누었고 도 밑에는 대도호부, 목 , 도호부 , 군 , 현 등이 있었으며

인천도호부내에는 10개의 면과

그 밑에 다수의 동 , 리 , 촌이 있었고 동 , 리 밑에는 매 5호를 한 개의 통으로 하는 5가작통제가 시행되었다. 

 도호부 중앙에서 파견된 도호부사 아래에 이, 호, 예, 병, 형, 공방의 6개 방을 두어 사무를 분담하게 하였는데 

이를 담당하는 자는 지방의 향리였으며, 1485년 ( 성종 16년 ) 경국대전에 규정된 당시 도호부 향리의 수는 26인이나 

그 수는 점차 증가되어인천 부읍지에 의하면

관할구역은 1748년 (영조24년) 당시에는 강화, 영종, 덕적도 등이 인천에 속했으며 인구는 6백여가구에 8천여명이 거주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두드려보고 , 쳐보고, 던져보고 , 써보고 , 널뛰기도 뛰어보고, 옷도 걸쳐보고, 굴렁쇠도 굴려보고.

                                             굴렁쇠가 생각만큼 굴러지지 않는다.

 

 

 

 

 

 

 

                             

 

 

                                         

                                       

                                                  삼문 ; 임금의 위패를 모신 객사에 출입하기 위하여 설치된 문이다. 이 문도 세 개로 되어 있어

                                                          삼문이라 하는데 가운데 부분이 솟아 있어 솟을삼문이라 한다.

 

                                                 객사;  임금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건물로서 수령의 집무실인 동헌보다도 격이 높았으며 그런 만큼 관아 시설

                                                         중에서  규모가 제일 크고 화려하며 가장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전패를 모시고 있는 가운데 채가전청이며 ,

                                                         부사가 정기적으로 예를 올리면서 임금에 대한 충성을 다짐하는 곳이었다.

                                    

                                             공수 ; 객사의 부속건물로써 부엌, 곳간, 온돌방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능으로는 객사를 관리하는

                                                    인원과 중앙 시신을 수행한 수행 인력들이 유숙하고 , 객사에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던 곳이다.

                                                    이들 업무를 주관하는 곳이 공수청이다.

                                     

                                                         동헌 ; 부사의 집무실로서 객사의 동쪽에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중앙은 마루로 된 대청으로

                                                                 지방의 일반행정업무와 재판이 여기서 행하여졌고 좌우의 온돌방은 숙식공간이라기 보다는

                                                                 사무공간이나 응접공간이었다. 수령의 가족이 머무는 내아는 따로 배치되었다.                                     

                                                 

                                

 

 

                                                아문 ;  관아의 정문으로 2층으로 된 누대에 위풍당당한 팔작지붕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 문은 세칸으로 나누어져 있어 외삼문이라 하는데  가운데 문은 주로 수령만이 출입하고 좌우문은 일반인이 사용하였다.

                                                         아문에 이르면 수령 이하 모든사람이 말에서 내려  걸어서 출입하는 것이 통례였으며 , 좌우에 건장한 문지기들이 지키고 있어

                                                         함부로 드나드는 것을 막았다. 또한 대문의 공간 일부를 이용하여 민원인 들의 임시 대기실로 쓰기도 했다.

 

 

쌍둥이들이 많은것을 보았지만 얼마나 많이 것들이 기억 될지는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