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 (The Boy In The Striped Pajamas, 2008

2018. 5. 27. 11:14영화, 연극







감독 : 관객들은 브루노의 죽음은 안타까워하지만 유태인의 죽음은 관심 밖이다.


2차 대전을 배경으로 나치 장교의 아들이었던 소년 브루노가 아빠의 전근으로 베를린에서 폴란드로 이사를 가게 되는데

그의 아빠는 그저 군인이 아닌 나치의 최고 엘리트 장교 중 한 명. 농장이라고 생각했던 곳은

유대인들이 홀로코스트의 학대를 받은 아우슈비츠다.

밖을 나가지 못하게 해 답답해하던 브루노는 몰래 뒷문으로 뻐져나와 숲 속을 거닐다가

철조망을 발견하게 되고 슈무얼이라는 동갑내기 유대인 소년을 만나 친구가 된다.

전쟁, 학살이라는 말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순진무구한 소년들의 우정은 끔찍한 결말을 가져오게 되는데...

전쟁과 나치 시대의 비극을 더욱 가슴 먹먹하게 만든다









                                                  여기 농장에 있는 사람들은 왜 파자마를 입고 있냐는 부르노의 질문에


                                                  아무것도 모르는 브루노는 아우슈비츠가 농장인 줄 안다.

                                         철조망을 사이에 두고 체스를 두는데 말로 하면 그자리에 놓아준다.



                                     브루노의 엄마가 이 사실을 알고 분노하며 아이들을 이곳에서 키울 수 없다고 애들을 데리고

                                                                   다른곳으로 간다고 한다.

                                          내일 점심후 다른 곳으로 가기로 해서 마지막 슈무얼을 찿아온다.

                             어제 슈무얼이 아빠가 실종됐다고 해서 브루노가 함께 찾아 보자고 약속을 해 철조망 밑을 파고 들어가

                                          슈무얼 가져온  줄무늬 옷을 갈아 입고 아빠를 찿으러 어느 창고로 들어 갔는데

                     그곳 사람들을 어디로 데리고 가서 샤워 할꺼라고 옷을 벗으라고 해서 두 꼬마도 같이 가게되어 옷을 벗고 들어간다.

                          헌데 그곳은 까스실이었다. 한편 엄마는 떠나려고 브루노를 찾는데 집안에 없는걸 알고 찾아 찾아 철조망까지 오게 되었는데

                                                      그 곳에 벗어 놓은 브루노의 옷이 있었다.

                                        엄마는 절규하지만 이미 때는 늦었다. 가끔 굴뚝에서 시커먼 연기가 나오고

                                                        고약한 냄새가 나는건 사람을 태우는 것이었다.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은2006년 영국에서 출간되어 큰 화제를 일으켰던 존 보인의 소설 <줄무늬 파자마를 입은 소년>을 바탕으로

                 한 영화로 원작에 매우 충실한 작품이다. 또한 제작노트에서 영화에 함께 참여한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이 영화는 단순히 홀로코스트를 다룬 영화가 아니라 홀로코스트를 통해 역사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상기하게 만드는 작품이기에

                                        자라나는 아이들과 함께 가족 모두가 함께 보아야 할 영화'라고 말한다. 
.


          2008년도 작품이라고 하니 10년이 된 영화다. 인류가 살면서 전쟁은 필요악이라고 한다.

                  그러나 전쟁은 참으로 인간을 피폐하게 만들고 네가 아니면 내가 죽어야 하는 상황이므로

                          본의 아니게 잔혹해지기도 하다.  착한 전쟁은 없다.

                               그러니,   전쟁은 하지 말아야 한다.

                                                                         이 영화는 역사의 한 부분이다.  가슴아픈 ..



'영화, 연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일라  (0) 2018.06.29
아이 필 프리티 / I fell pretty.  (0) 2018.06.22
부르고뉴, 와인에서 찾은 인생  (0) 2018.05.20
걸어도 걸어도  (0) 2018.05.14
월미도 & 연안부두  (0) 2018.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