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 조선시대

2018. 8. 26. 15:41서울




                                조선


                      1392년부터 1910년까지 518년간 이씨(李氏)가 27대에 걸쳐 집권했던 왕조.



1392년 이성계가 고려를 무너뜨리고 한양에 도읍하여 조선이라는 나라를 세운 때부터 1910년 일본에 의하여 국권을 강탈당한 때까지의 시대.

  • 조선 시대는 양반, 중인, 상민, 천민 등으로 나뉜 철저한 계급 사회였습니다.    

  • 조선 왕조를 이룩한 주도 세력은 신흥사대부 세력과 무장 세력이었다. 고려 말기에 이르러, 안으로는 농장(農莊)의 확대에 따른 사회적 모순의 증대로 백성들의 생활이 더욱 어려워졌고, 밖으로는 이민족의 침략이 잦아 민족적 시련이 가중되었다. 이 때 이민족의 침략에 대응해 등장한 무장 이성계(李成桂)가 사회적 모순을 개혁하려는 신흥사대부 세력과 힘을 합해 조선 왕조를 세웠다. 이에 앞서 이성계는 위화도회군으로 정치적 실권을 잡은 뒤, 전제 개혁으로 권문세족의 경제 기반을 무너뜨리고 국가 재정과 신흥사대부의 경제 기반을 다졌다. 그리고 이들 신진 세력은 불교를 배척하고 신흥사대부가 수용한 성리학을 사회 지도이념으로 삼았다.


  •                  

  •                                                                                   일월오봉도.                                   

  • 다섯 개의 산봉우리 , , 소나무 그린 청록 산수화풍 그림. 예전 임금 앉는 용상(), 어진() 장식으로 .


  •                  

  •                                                                                     궁중일기

                                                                   분청사기 상감 쌍어 문매병    보물347호


  •                                                           백자 철화 매죽문 항아리.  국보 제166호


  •  

                                                                     백자 상감 연당초문대접.  국보제175호



  •                                     

                                           백자진사 매국문병.입니다.   국보 제168호

    이 병에는 목과 어깨 및 몸체에 각각 두줄씩의 대선을 돌려서
    전체를 4분한뒤제1단과 제4단을 여백으로 두고
    제2단에 파초문을 그렸고 제3단에는 매화와국화절지를
    서로 반대되는 양면에 몰골법으로 그렸습니다 .
    이런 병은 우리나라에 매우 희귀한 작품입니다.


                                                                  모란 무늬 자라병 .15세기 국보 제260호

  •                                                        외출할때 물이나 술을 담아 다닌것이라 한다.

  •                                                                              


    용비어천가.

                                                                                

                                                                        정비록

  • 조선 중기의 문신인 서애 유성룡(1542∼1607)이 임진왜란 때의 상황을 기록한 것이다.징비란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는 뜻이다.유성룡은 퇴계 이황의 문인이며, 김성일과 동문수학하였다.

  • 명종 21년(1566)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권예문관검열, 공조좌랑, 이조좌랑 등의 벼슬을 거쳐 삼정승을 모두 지냈다.왜적이 쳐들어올 것을 알고 장군인 권율과 이순신을 중용하도록 추천하였고, 화포 등 각종 무기의 제조, 성곽을 세울 것을 건의하고 군비확충에 노력하였다.또한 도학·문장·글씨 등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그가 죽은 후 문충이라는 시호가 내려졌고, 안동의 병산서원 등에 모셔졌다


  •  유성룡이 쓴 친필 <징비록>은 국보 제13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임진왜란을 기록한 국내외 문헌 중 가장 중요한 자료로 손꼽힌다.

                                                        백자 달항아리                  보물 제1437        

  • 생긴 모양이 달덩이처럼 둥그렇고 원만하다고 하여 달 항아리로 불린다. 몸체는 완전히 둥글지도 않고 부드럽고 여유 있는 둥근 모양이다. 구워지는 과정에서 한쪽이 조금 내려앉았다. 곧바로 선 굽의 지름은 입 부분의 지름보다 조금 좁다. 푸른 기가 거의 없는 투명한 백자유가씌워졌고, 부분적으로 유빙렬이 크게 나 있으며, 표면의 색조는 우윳빛에 가깝다. 흔히 맑은 흰 빛과 너그러운 둥근 맛으로 요약되는

  • 조선 백자의 미를 대표하는 잘생긴 항아리로 꼽힌다.


  •                                                        허균의 동의보감.


  •                                          오른쪽이 세조어필   ;  왕실의 보물인 어필을 항구적으로 보존하며 선왕의

                                                              위업을 계승하려는 의도로 대리석에 새겼다.


  •                



                                                                                      훈민정음.


옥책.


조선의 책문이 ‘승통 내’의 피수책자에 대하여, 왕비 이상에 대해서는 옥책을, 왕세자 이하에 대해서는 죽책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였다.

그러나 대한제국은 황제국이었으므로 피수책자의 범위도 확대되었다. 즉, 승통에 속하는 황후·황태자·황태자비는 물론이고,

그 밖의 친왕·친황비와 황제의 후궁인 귀비와 황귀비에 대해서도 금책이 사용되었다.

                                      다만 그 용도는 책봉으로 제한되었다.


                                                     대한제국 황태자 책봉 때 만든 금책 


                                                       광해군일기

조선왕조실록 작성은 왕이 돌아가시면 그 다음 왕의 명령으로 실록청이라는 임시 관청에서 담당했다. 왕의 자리를 빼앗긴 연산군 및 광해군은 실록이라는 이름 대신 일기라고 하였고 관청도 찬수청이라 하였다. 광해군일기는 광해군을 따르던 북인을 내몰고 집권한 서인이 편찬하였기

때문에 광해군 당시의 정치 상황이 상당 부분 왜곡되었다 한다. 

 




                                         장원급제하면 이렇게 얼굴을 그리고 신상명세서까지 써 넣었다.


                                    관리들이 공무로 지방 출장을 갈 때 역(驛)에서 말을 징빙할 수 있는 일종의 증빙 수단이었다.

                                  표면에 1 ~ 10 마리의 말을 새겨 그 수효에 따라 말을 내 주었다.

                        하지만 실제로 말 10마리가 찍힌 마패는 임금이 사용하는 마패이므로 일반 관리들은 사용할 수 없고

                                                      암행어사들은 그보다 말의 숫자가 적은 마패를 사용한다.




                                                                         대동여지도의 한양모습.


                                                                       일본에 사신으로 가는 그림.


                                                           

                                                                          오른쪽에 있는 것이 여권.





                                                                 척화비

대원군은 프랑스의 힘을 빌려 러시아의 남하를 저지하려다 실패한 후 천주교를 탄압하고 1866년 프랑스 선교사 9명을 비롯한 수천 명의 교도를 처형했다. 이를 구실로 프랑스가 조선을 침략함으로써 병인양요가 시작되었다. 대원군은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에 맞서 싸울 것과 문호개방을 하지 않을 것임을 강조했다. 쇄국양이정책은 1868년 남연군 분묘 도굴사건으로 더욱 강화되었고, 1871년 신미양요에서 미국을 물리친 후 척화비가 세워졌다. 비석에는 서양 오랑캐가 침범하는데 싸우지 아니하면 화친하는 것이고,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파는 것이다"라고 새겨져 있다.
척화비는 서울 종로네거리·강화·경주·부산진·함양군 등 전국 주요도시에 세워졌다. 현재 서울 경복궁, 부산 용두산공원, 경상남도 함양군 등에 남아 있다."


 흥선대원군때도 외국에서 우리나라와 통상을 주장하며 많이 쳐들어왔을때 흥선대원군은 척화비(배척를 내용으로 한, 절대 통상하지 않겠다) 까지 세우면서 쇄국정책을 폈던걸로 유명합니다



                                                              우리나라 최초로 발간된 독립신문


  •                                                                           불운의 왕  고종.         

  •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된 태극기.

                           



    발해관을 시작으로 고려를 거쳐 조선까지 오는 동안 참으로 많은 세월을 단 몇시간으로 다 알 수는 없지만

    그래도 우리나라 역사의 한 장을 지나온 느낌이  억겁의 세월이 흘러간 느낌이었다.

    오늘은 1층의 한 부분이었지만 다음에 역사의 다른 시대를 찾을 것이다.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중앙박물관 황금의 카자흐스탄  (0) 2019.02.20
    서울빛초롱축제  (0) 2018.11.15
    국립중앙박물관 / 발해관  (0) 2018.08.21
    덕수궁의 가을  (0) 2017.11.22
    서대문 독립공원  (0) 2017.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