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정마을

2018. 10. 2. 09:10우리나라 이곳저곳

               



       

김유정(金裕貞, 1908년 1월 11일  ~ 1937년 3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소설가이다.

원도 춘천 출생이며 1937년 3월 29일 폐결핵으로 요절했다.




                      


                       

                                  마을은 조용하고 깨끗하게 정돈되어 느긋하게 김유정에 대한 그의 삶과 작품속에서

                                만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 되었다. 누군가를 진정으로 이해하며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김유정 소설의 모티브는 실레마을의 질퍽한 삶이

                                                                줄거리들이 되었다고 한다.







                      

김유정 기념관.



                      









                                                                     김유정의 생가.



                                                                       동백꽃의 한장면.



농촌을 배경으로 마름의 딸과 소작인 아들의 풋풋한 애정을 해학적으로 그려 낸 작품이다.

토속어와 향토적인 소재의 사용으로 서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줄거리 : 점순은 ‘나’의 수탉을 때리고, 자기네 수탉과 ‘나’의 수탉을 싸움 붙여 놓아 ‘나’를 약올린다.

나흘 전 일하고 있는 ‘나’에게 점순이 다가와서 감자를 쥐어 준다.

그러나 자존심이 상한 ‘나’는 이를 거절한다.

‘나’는 매번 싸움에 패하는 ‘나’의 수탉에게 고추장을 먹여 보기도 하지만 점순네 수탉을 이기지는 못한다.

어느 날 나무를 하고 오는 길에 점순이 닭싸움을 시켜 놓은 것을 보고 화가 난 ‘나’는 점순네 닭을 죽이고 만다.

그리고 겁이 나서 울음을 터뜨리는데 점순이 ‘나’를 달래 준다. 점순과 ‘나’가 같이 동백꽃 속으로 쓰러지면서 화해한다.


                                                     

                


                                             



소설 봄 봄의 한장면.

  

봄 · 봄

단편 소설. 우직하고 순진한 ‘나’가 심술 사나운 장인과 혼례를 둘러싸고 벌이는 갈등을 해학적으로 그린 작품이다.

또한 신분적으로 강자인 마름이 약자인 머슴을 착취하고 있는 당대 농촌 상황을 웃음 속에서 비판적으로 보여 준다.


*줄거리 : ‘나’는 점순이와 혼례를 올리기로 하고 3년 7개월이나 변변한 대가 없이 머슴일을 해 주고 있다.

음흉하고 교활한 장인은 점순이가 덜 컸다는 이유로 혼례를 미루고 ‘나’는 구장에게 억울함을 호소하여 중재를 요청하지만

구장은 결국 장인의 편을 든다. 뭉태가 충동질하고 점순이 성례를 부추겨 더 이상 참을 수 없는

‘나’는 결국 장인과 대판 몸싸움을 벌이고, ‘나’와 장인의 싸움에서 내 편을 들 줄 알았던 점순이는 아버지의 편을 든다.

장인은 가을에 혼례를 올려 주겠다며 ‘나’를 다독이고 신이 난 ‘나’는 다시 일하러 나간다.









두 번의 짝사랑으로 짧은 생을 마감한 김유정.






                      




                                        


                      

                                      학생들 한그룹이 해설사의 이야기에 귀를 귀울이더니  돌아 나오는 사이에 끝나고

                                                                 텅빈 공연장엔 햇살이 따스하다.


그 옛날의 자취는 온데 간데 없어도 김유정이라는 이름 석자는  내가슴에

자리 잡아 둥둥 온 마을 휘젖고 다닌다.

마을을 돌아 나오는 내 머릿 속에는 불운하게 살다가

젊은 나이에 요절한 김유정의 생애가

마음을 아프게 한다.


  

                  



'우리나라 이곳저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모도 해변  (0) 2018.10.08
전등사  (0) 2018.10.05
책과인쇄  (0) 2018.09.22
부천 한옥마을  (0) 2018.09.15
구봉도  (0) 2018.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