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 / 삼국시대

2019. 3. 17. 19:54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순수비

 신라진흥왕이 새로 공략한 국경지대를 순시한 다음 세운 (碑)이다. 북한산 비봉에 자리하고 있었으나 보존하기 위하여 경복궁에 옮겨 놓았다가, 1970년부터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3호로 지정되었다.

                                                             

자루솥은 초두라고도 하는데 , 술이나 물과 같은 액체를 데우는 데 사용했던 그릇의 하나로 대개 다리가 셋 달리고

긴 손잡이가 붙어 있으며 청동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런 자루솥은 왕실의 취사 뿐 아니라  제사와 같은 신성한 의식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관으로 들어서니 휘황 찬란한 신라의 장신구가 그 당시의 화려함을 엿볼 수 있었다.





 이국적인 유리그릇은 천마총·황남대총만이 아니라 금관총·서봉총·금령총 등에서도 나왔다.

모두 많은 껴묻거리(부장품)를 묻은 돌무지덧널무덤(적석목곽분) 형식의 신라시대 왕릉급 무덤들이다.

이들 고분에서 나와 복원된 유리용기만도 20여점이다. 이 유리그릇들의 상당수는 서아시아나 지중해 주변에서 온 것으로 분석된다.

로마제국기에 성행한 ‘로만글라스’의 후기 모델(4~5세기 말)이거나 로만글라스를 장식적 측면에서

업그레이드한 서아시아 사산조 페르시아(3~7세기)의 ‘사산글라스’다.


로만글라스와 사산글라스가 나온 신라 고분들은 모두 5~6세기에 조성됐다.

그렇다면 1500여년 전에 저 먼 서역의 유리그릇이 신라까지 온 것이다. 신라만이 아니다.

‘금동대향로’ 출토로 유명한 백제 유적인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도 서역 유리그릇의 파편들이 확인됐다.

학술적으로 이 유물들은 삼국시대에 한반도와 지중해·서아시아 국가들 사이의 문물교류를 실증한다.


                                                                국보 193 황남대총 남분 유리병
















                              


                                      



금동 신발의 바닥판이 비교적 양호하게 남아 있다. 하나의 금동판에 사각추 형태의 금동못 40여 개가 촘촘히 박혀 있다. 신발 앞쪽은 버선코처럼 조금 들려 있다. 바닥판 가장자리에는 작은 구멍이 두 개씩 짝을 이루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뚫려 있어 위쪽은 가죽이나 천으로 만들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금동신발은 직접 신고 활동하기에는 불편해 실생활에 사용했다기보다는 의례용 또는 껴묻거리[副葬用]로 보인다. 고구려 금동신발은 신라나 백제의 금동신발에 비해 바닥에 박힌 못의 개수가 많고, 바닥판만 금속으로 만들었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안(集安) 삼실총 벽화에 묘사된 고구려 무사는 바닥에 못이 박힌 신발을 신고 있어 쇠못이 박혀 있는 신발이 금동신발의 전형으로 생각된다





                                       


                                       















                      







                      






                      


                               





                      







                                                   



                                        





순금제 버클로 낙랑유물 중 최고의 수작이다. 타출된 금판 위에 미세한 금 알갱이와 가는 금사를 누금기법으로 붙이고

그 위에 푸른 옥을 박아 화려한 장식을 더하였다. 문양은 가운데에 큰 용이 1마리 있고,

그 주위에 6마리의 작은 용이 배치되어 있는데, 각 용들의 중심 윤곽은 비교적 큰 금 알갱이로 나타냈다.

모두 41개의 청록색 터기석을 감입하였으나 현재는 7개만 남아있다.

왼편에 뚫린 호형의 구멍을 가로지르는 순금제 교침은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고궁박물관 1층  (0) 2021.07.11
국립고궁박물관  (0) 2021.07.06
국립중앙박물관 / 구석기 시대 ~ 삼국시대  (0) 2019.03.17
국립한글박물관  (0) 2019.03.12
서울 식물원  (0) 2019.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