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센트 반 고흐

2025. 3. 16. 16:49전시회

 

 

 

 

 

불멸의 화가 반 고흐

■ 기간 : 2024.11.29(금)~2025.03.16

■ 시간 : 10:00~19:00 (매주 월요일 휴관)

■ 장소 : 한가람 미술관 제1, 제2 전시실

■ 입장 연령 : 전체 관람

■ 티켓 가격

- 성인 : 24,000원(만 19-64세)

- 청소년 : 18,000원(만 13-18세)

- 어린이 : 18,000원 (36개월 이상-만 12세)

 

 

빈센트 반 고호 .

남프랑 여행에서 갔던 아를의 고즈녁한 도시의 그리움이 

전시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아 서둘러 예술의 전당으로 발길을 서둘렀다.

이번 전시는 네덜란드 크릴뤄 뮐러 미술관이 소장한 고흐의 중요한 작품 76점을 전시한다.

12년만에 전시하는 진품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보험총평가액이 1조원을 넘는다 한다.

고호의 예술적 여정을 따라 다섯 시기로 나누어 그시기 삶과 깊은 고뇌와

예술적 깊이를 알 수 있는 전시회이다.

 

 

사진을 찍을 수 없어 전시된 작품을 나름 기억을 더듬어

인터넷에서 찿아 대충 정리를 하였다.

 1 . 네덜란드 시기 1881 ~ 1885 

"나도 무언가가 될 수 있다."

7년간의 화상생활과 4년간의 성직자 생활을 끝으로 빈센트 반 고호의 나이 27세 되던

1880년에 동생 테오의 권유로 화가가 되기로 결심을 한다.

 

이 시기는 화가가 되기 위한 입문과정이라 드로잉이 눈길을 끈다.

그는 가난하고 육체노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관심이 많았고

민중미술이 사람들에게 위로가 되길 바랬다.

                          1880 년 8월

밀레의 전기를 읽고 깊은 감명을 받은 그는 농촌 생활을 그리는 화가가 되겠다고 결심한다.

그는 평생 밀레의 전기를 진정한 예술의 길잡이로 여겼다.

                                           시계와 우산을 든 남자. /1881                                

                                         난로옆에 있는 노인 / 1881

                                            밭은 가는 여인  / 1884                                          

                                             바느질하는 여인.  /  1883

                                         바구니에 앉은 애도하는 여자  /  1883

                                             바르질하는 여인  /  1883

                                           기도하는 두 여인.  

 

 

                                              흰모자를 쓴 여자의 두상

                                              파이프를 문 남자  / 1885

                                                  여인의 두상  / 1885.

                                                수확하는 여자

                                             밀다발 / 1885

 

 중앙에 자리 잡은 그림 밀다발은  농촌의 흔한 풍경이지만 수확의 기쁨과 풍족함이 

느껴져 사람들의 시선을 붙들고 있다.

                          직기와 직조공 /1884.

                         교회 안에서. 

             교회에 온 사람들의 표정은 한결같이 삶에 지친 표정들이다.

                         감자 먹는 사람들  / 1885  석판화.

 

이 그림은 네덜란드 누넨에서 작업했던 그림이다. 감자 먹는 사람들은 고흐의 초기 시기에

중요한 작품중 하나인데 1883년 에 에인트호번 근처의 작은마을에 거주하게 된 후

현지 농민들의 삶을 묘사하고 자신의 도덕적이고 사회적 견해를 전달했다. 

 이 그림은 음산했던 기후의 영향도 잘 나타나 있다.

1885년 4월 고흐는 동생 테오에게 이렇게 편지를 썼다.

                               뉘넨의 오래된 밤  1884

 

 

2; 파리시기 < 1886 ~ 1888 >

 

1886년 3월에 도착하여 2년간 동생테오와 함께 살던 파리에서의 생활은 

반 고흐가 자신의 화풍을 정립하는데 주력하였던 시기였다.

빛의 발견의 시기. 빛의 화화로 통칭되는 인상주의 미술이 남긴 빛의 발견은

반 고흐의 화풍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유화로 그린 화려한 색채가 특징적이고 

이 시기에는 정물화가 많았다.

 

"언젠가는 내 그림이 물감 값보다 더 많은 가치가 있다는걸 알게 될 날이 올것이다."

라고 말했던 고흐는 살아 생전에는 그림값이 물감 값보다 비싸다는걸  알지 못하고 갔다.

 

 

                         몽마르뜨 언덕.

                            풍차./ 1886

                    식당내부   1887

                            석고상이 있는 정물화 / 1887

                                                  자화상 / 1887

                                             풀밭 / 1888

                                          들꽃과있는 정물화 1887

                        장미와 모란  / 1887

 

3. 아를시기 < 1888 ~ 1889 >

아를 시기에는 풍경화와 인물화가 중심이었다. 살아있는 동안에 그림을 팔지 못했던 고흐는 

동생이 보내주는 생활비로 생활을 했으니 모델을 구하기는 쉽지 않았으리라.

그래서 자화상을 그렸을까?  아를의 아름다운 전원이 그의 모델의 대상이었을 것이다.

이시기에 187점의 많은 유화 작품을 남겼다.

이 시기에 고갱이 아를로 와서 노란집에서 함께 지내다가 둘이 격하게 다투고 고갱이 

타이티섬으로 가 버리자 격한 고흐는 자신의 귀를 칼로 자르는 행동을 한다.

이것이 정신 이상의 시초가 아니었을까?

 

                석양의 버드나무 / 1888.

                나목 사이로 비추는 빛이 눈이 부시는 듯하여  몇 번을 눈을 깜빡이며 쳐다 보았다.

                아를시기에서는 파리에서의 색에 대한 감각적인 영향으로 밝은 색의 그림을 그렸다.

               씨뿌리는 사람  /  1888

 

네델란드 아이트호벤이나 파리와는 완전히 다른 아를은 우울했던 고흐에게

다른 세상이었고 평화로운 마을과 아를을 비추는 강렬한 햇빛이 고흐의 작품에도 영향을 주어 

아를의 시기에 작품들은 밝은색을 많이 사용했다.

 

            사이프러스 나무에 둘러 싸인 과수원.

                                         조셉 미쉘 마누의 초상 / 1888

                        생트 마리 드라 메르의 전경1888

                협곡  /1889  < 레 페이룰레 >

 

4.  생레미 시기  / 1889 ~1890

"자연으로 돌아가라 ! " 이 시기의 1년은 위대한 자연의 발견과 색채화의 완성 시기로 

이 시기에는 정신병원에 머물며 정신적으로 힘든 시기임에도 그림의 채색은 완성도가 

높았다.

 

 

        담쟁이 덩쿨로 덮인 덤불

                                        씨뿌리는 사람 /  1890 < 밀레원작 >

                                                          

                             해질녁의 소나무

                밀단과 떠오르는 달이있는 풍경.

               

                           슬픔에 잠긴 노인 / 1890

 

 

나는 아무 쓸모 없는 인간인가?

5 . 오베르쉬르 우아주 시기   /   1890 5월 ~ 7월 

고향이 그리워 남프랑의 꿈을 접고 생레미 정신병원을 떠나 파리 북쪽

오베르쉬르 우아즈에 도착. 오베르에서의 고흐 생활은 가셰박사의 보호아래 

그림 그리는 일상이 전부였다.  < 꽃 피는 아몬드 나무, 사이프러스와 별이 있는길 ,

오후의 휴식, 오베르성당 , 까마귀가 있는 밀밭 등  80여 점의 작품을 남겼다.

 

고흐는 오베르에서 70일간의 생활을 끝으로 불운했던 삶을 마감했다.

 

                              꽃이 핀 밤나무 / 1890

                       산악풍경의 밀밭

                         반 고흐  착한 사마리아인  / 1890

 

생래미 시기 1년은 정신병원에 머무는 동안 고통을 의지로 이겨내며 예술적 사명에 

충실했던 시기였다.  그 시기에 그린 "착한 사마리아인"이다.

 

"착한 사마리아인"은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을 그린 프랑스의 외젠 둘라쿠르아의

작품을 모사한 것이다.  착한 사마리아인이라는 작품은 사마리아 남자가 강도를 만나

부상당한 사람을 말에 태워 회복을 위해 여관으로 데리고 가는 내용을 담은 그림이다.

 

                                   외젠 들라크루아, 착한 사마리아인  1849

                                           젊은여인의 초상 /1890

                                            구름낀 하늘아래 밀더미 1890

                                          가셰박사  /  1890        반 고흐를 치료하던 의사 가셰의 초상화.

 

                                         

〈해바라기〉, 〈별이 빛나는 밤〉과 함께 고흐의 최고 걸작으로 손꼽히는 〈아를르의 포룸 광장의 카페 테라스〉가 그려진 시기는 고흐가 아를르에 머물며 강렬한 색채와 임파스토 기법으로 대표되는 자신의 독자적인 양식을 자리매김한 때이다. 1888년부터 이듬해까지 15개월 동안 이어진 이른바 ‘아를르 시기’에 고흐는 약 200점에 달하는 작품을 남겼다. 검은색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아름다운 파란색과 보라색, 초록색만으로 밤 풍경을 표현했다. 또한 카페 차양의 밝은 노란색과 가스등에서 퍼져 나오는 황금색 불빛이 밤하늘과 강렬한 색채 대비를 이루며 매우 아름답게 표현되었다. /  다음백과

 

                                      아를 여행때  "밤의 카페 테라스"   카페 앞에서 찍은 사진. .

 

 

좌절과 고통을 딛고 마침내 불멸의 화가로 강렬한 색과 붓터치가 생생하게 살아있는

명화를 통해 반 고흐의 불꽃같은 예술의 혼을 느낄 수 있다.

반 고흐는 10년 동안 900여 점의 회화만을 남긴채 자신의 일생을 송두리채 불태우고 

전설 속으로 사라졌습니다. 그로 인해 사후 백 년이 지난 오늘까지 그의 삶은 

전설이 되고 작품은 신화가 되어 우리들의 마음 속에 영원히 기억되고 있습니다.

 

 

 

                      고흐 생전에 유일하게 팔린 작품이라 궁금해서 인터넷에서 찾아보았다.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작품이 없어 아쉬운 점이 있었지만 고흐의 드로잉과 또 다른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였다.

 

'전시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혜로운 해방  (22) 2025.03.13
한.중 근현대 회화 한국화 편  (24) 2025.02.24
덕수궁 현대미술관, 한 .중 근현대 회화  (27) 2025.02.16
빛의 거장 , 카라바조  (29) 2025.02.06
흰물결겔러리 / 조영남 전시회  (20) 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