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거장 , 카라바조

2025. 2. 6. 01:37전시회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은 붐볐다.1층에  "고흐전"을 보러 갔다가  

너무 붐벼 제대로 볼 수가 없어 뒤로 미루고
카라바조 전을 보기로 했다.
고흐는 대중적이지만 카라바조는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낯설다.
한층을 올라가니 한적해서 조용히 작품을 감상할 수 있었다.

 

 

 

 

빛의 거장 카라바조 & 바로크의 얼굴들

일시: 2024년 11월 9일 ~ 2025년 3월 27일 (목)

10:00 ~ 19:00 (매주 월요일 휴관)

장소: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2F

요금: 성인 22,000원/청소년 17,000원/어린이 14,000원


이번 전시에서는 카라바조의 작품 10점과 함께 카라바조의 라이벌이자 당대 최고의 화가였던

안니발레 카라치, 오라치오 로미 젠틸레스키, 구에르치노 등 바로크 회화를 대표하는 거장들의 작품

47점도 전시되어 르네상스 이후 바로크 시대의 문을 연 17세기 바로크 회화의 발상지,

이탈리아를 그대로 펼쳐 놓았다.

 

 

 
이탈리아의 화가. 본명은 '미켈란젤로 메리시 다 카라바조'이지만, 

다른 미켈란젤로가 너무 유명한 만큼(…) 다른 본명보다는 출신지에서 따 온 카라바조라는

이명으로 잘 알려져 있다. 활동 당시에도 인기가 많았고 미술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인물인데

르네상스 회화 양식을 마감하고 바로크 회화의 시대를 개척한 거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막장스러웠던 인생사 때문에 오랫동안 그 진가를 인정받지 못하고 묻혀 있었던 화가이기도 하다.
카라바조는 그의 천재적인 작품에도 불구하고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점철된 38년의 생애 동안

많지 않은 100여 점의 작품을 남겼다. 그리고 거의 300여 년 동안 예술사 속에서 묻혔다.

그러던 것이 20세기 초가 되어서야 그의 이름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빛과 어둠의 대비방.

 

 

우피치미술관 소장품 중에 카라바조의 대표작 ' 성 토마의 의심 '  ' 그리스도의 체포 '

이 뽑는 사람 ' 세점이 전시된다.

'성 토마스의 의심'은 카라바조의 작품 중 가장 많이 복제된 작품으로,

묘사적 효과의 정점을 보여준다. 이밖에 '묵상하는 성 프란체스코',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

'도마뱀에게 물린 소년' 등이 함께 소개된다.

 

마르타와 마리아의 집에 있는 그리스도 :
프란체스코 바사노 일 지오반니(1586

 

                                                 
                                   성야누아리우스의 참수 : 미켈란젤로 메리시 (카라바조)
 

 

<삼손과 데릴라>조반니 발리오네 1625~1630.

초기 카라바조의 화풍을 따랐으며 카라바조의 비난과 조롱으로 관계가 악화되었다.
발리오네는 화가이며 비평가이기도 했다.

                                            

               

                         주사페 체사리  '카발리에르 다르피노 ' < 죽은 그리스도의 애도 > 1610

                                             

                                  가시관 쓴 예수.

           카라바조 스승의 작품입니다. 유대인의 전통에 따라 예수를 성전에 처음 봉헌한 그림.

 

 

                                          메두사  <  미켈란젤로 메리시 (카라바조)
 
                                                       
                                    

 

 

                  그리스도의 체포 : 미켈란젤로 메리시 (카라바조) 1602   

                  예수가 유다의 배신으로 겟세마네동산에서 로마병사들에게 체포되는 순간을 묘사.

                         

 
                                     

                                 카라바조   < 묵상하는 성 프란체스코 >
                                    

                       

                                   

                                 

성 토마스의 의심 : 미켈란젤로 메리시 (카라바조) 1601~2

카라바조의 영향을 받은 작가

 

이 작품은 복제본이 많기로 유명한 ' 성 토마스의 의심 ' 으로

토마스가 예수의 부활을 맏지 못해 그의 상처에 손가락을 넣어 확인하는 장면이다.

뒤로 호기심 가득한 사도들의 구경하는 모습도 보이다.

 

 

카라바조  <도마뱀에 물린 소년 >

            이 그림은 로마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카라바조의 명성을 높이게 되는 작품입니다.

 

 

 

루도비코 카라치,  '성 바오로의 회심'

유대인을 핍박한 사울이 하늘에서 메시아의 음성을 듣고 개종.

바오로로 개명 기독교를 전파하게 되는 계기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카라바조에게 영향을 준 작품입니다.

 

                                 

                                         루벤스  < 그리스도의 매장 >

                                             
                                   성가족과 아기 성 세례자 요한 : 안니발레 카라치(1595)
 

                                         

                           

                                     과일 껍질을 벗기는 소년.
                                     미케란젤로 메리시 (카라바조) 추정 159

 

까마귀에게 빵과고기를 받는 엘리야.1617

조반니 프란체스코 바르비에리(구에르치노)

찢어진 옷은 화려한 주름장식처럼부드럽게 표현.

얼굴은 화면밖의 까마귀를 향하여 외부공간과

자연스럽게 이어진다.에리야의 얼굴은 피로,고독

신의자비에 대한 믿음을 드러내고 있다.

 

                                          예수의 탄생

   
                                   성 세바스티아노 : 미켈란젤로 메리시 (카라바조) 1606
                                   기독교를 전파한 죄로 성 세바스티아노의 순교장면

                               

그의손과 발을 나무에 묶고있는 동안 첫번째 화살이 그의 몸을

관통,그 순간 성인의 얼굴은 고통과 경악이 교차,

일그러지고,본능적으로 화살을 향해 고개를 숙인 다.화살을 쏜 집행인을 의도적으로

화면밖에 두고 관람자 즉 '우리'임을 암시,결국우리가

순교를 집행하는 자들임을 시사한다.<1606.카라바조>

 

 

                                                     

 

                                       오라치오 로미 젠틸레스키 < 회개하는 막달라 마리아 > c, 1610

                                                 

 

                                           

                                   빈첸초 캄피 , 베르나르디노 캄피. 형제 < 회개하는 성 예로니모 >

                                

다친 탄 그레디를 발견한 에르미니아  :  조반리 프란체스코 바르비에리 < 구에르치노 > 1619

안티오키아 공주 에르미니아와 적군인 십자군 기사  탄크레디의 사랑이야기를 그린 작품.

 

                     


                                       

 

 

 
                              

                           
                          이 뽑는 사람 : 미켈란젤로 메리시 (카라바조) 1608  피렌체  우피치소장.
 
                          펜치를 들고 이뽑는 치과의사, 고통받는 환자, 주위에 있는
                          사람들의 표정이 이 상황을 잘 설명하고 있다.

 

                                                        카라바조 ,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은 그의 유작이다.
이 그림은 두 번 그려졌다. 한 번은 추기경의 이뢰를 받고, 그리고 또 한번은 도망자 시절
자신의 죄를 사면받기 위한 뇌물용(?)으로 그려진 그림이다.
두번째로 그려진 그림 속의 칼엔 이니셜이 새겨져있는데,
그 문구는 "겸손은 오만을 이긴다"란 로마 약자다.
자신의 실력과 재능을 칭송해주는 사람들의 인기에 오만해진 카라바조는
자신의 폭행과 살인에 휘말려도 그의 작품을 얻기위해 잘못을 덮어주는
사회에 익숙해져 갈수록 타락해간다.
그래도 도망자 시절에는 자신의 망가진 모습을 투영하여 골리앗의 머리에 자신의 얼굴을 그려넣었다.
그리고 더불어 다윗의 얼굴 또한 자신의 과거를 안타깝게 쳐다보는
후회가 담긴 자신의 얼굴이기도 하다는데,,
도망 다니는 배 안에서 그린 이 작품조차, 죄를 사면받을 생각으로 그렸다고 하니
그의 죄책감이 사실이었는지 의심이 간다

이 그림을 그렸을 당시의 카라바조는 살인을 저지른 뒤에 여기저기 도망다니는 신세였다.

다윗의 모습은 승승장구했던 자신의 어렸을때의 모습을 투영한 것이도 골리앗의 머리는

현재 자신의 신세를 투영한 것이라고 한다. 욱하는 성격을 가진 카라바조는 자존감은 낮고

자존심은 세서 자신의 화풍을 따라하며 돈을 버는 동료 작가들을 직접 찾아 가서

그들의 그림을 찢고 부수고 난리를 피웠다고 한다.

결국 그는 살인을 저지르고 도망다니다가 갑자기 객사하며 쓸쓸하게 죽음을 맞이하게 됐다고 한다.
 
 
카라바조는 당대의 가장 혁신적인 미술가로 평가된다. 그는 이전 1세기 동안 미술을 이끌어온
인간적·종교적 경험을 이상적인 형태로 나타내는 플라톤식 이상을 버리고
인간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았으며, 인생은 언제나 일종의 드라마이고 모든 경험(심지어 신비한 경험조차)은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물리적 현상 속에서 시작되는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는 매우 감정적이고 반항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으며 현상세계에서 일어나는
실제 사건들의 의미를 철저하게 이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작품에서 극적인 순간을 뛰어나게
묘사할 수 있었는데, 실제로 그의 그림들은 순간을 포착한 극적 긴장감을 자아내고 있다.
그의 인간관은 당시에는 독특한 것이었으며, 따라서 널리 칭찬을 받고
그의 기법이 널리 모방되기는 했지만 그는 외로운 인물이었다.
 

 
 

출생  ; 1571년 9월29일  스페인 제국 밀라노 공국 밀라노
사망  ' 1610년 7월18일  스페인 제국  포르토 에르콜레